인간이 만들어 지구에서 가장 먼 곳에 있는 탐사선인 보이저탐사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보이저 2호는 보이저 1호보다 먼저 출발하였습니다.
늦게 발사된 보이저 1호는 궤도상의 이유로 목성과 토성에 도달하였고 보이저 2호보다 더 멀리 날아갈 탐사선이었기때문에 조사 목적으로서의 이유로 이름이 붙어졌습니다.
보통 보이저 2호에 대해 이야기를 많이 하고 발표도 많이 하지만 여전히 보이저 1호도 우주를 향해서 날아가고 있고 교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이저 1호는 토성과 타이탄의 대기 조사를 마지막으로 과학 미션은 종료되었고, 2014년 태양권 탈출과 함께 시스템들을 순차적으로 기기들을 종료시키며 전력을 절약하였으며 현재는 거의 통신도 불가능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은 보이저 2호 탐사선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보이저 2호
보이저 2호(Voyager 2)는 NASA가 1977년에 발사한 우주 탐사선으로, 태양계 외곽의 행성들을 탐사하며 중요한 업적들을 남겼습니다.
1. 목성 탐사
1979년 목성을 근접 통과하며 목성의 대기와 위성들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목성의 거대 폭풍인 대적점(Great Red Spot)의 사진을 촬영하고, 목성의 자기장 및 방사선 벨트를 연구했습니다.
목성의 위성들인 이오(Io), 유로파(Europa), 가니메데(Ganymede), 칼리스토(Callisto)를 탐사하며 위성들의 표면 특징과 활동을 조사했습니다.
특히, 이오의 화산 활동을 처음으로 확인했습니다.
2. 토성 탐사
1981년 토성을 근접 통과하며 토성의 고리와 대기, 자기장을 조사했습니다.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Titan)의 대기에 대해 상세한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토성의 다른 위성들인 미마스(Mimas), 엔셀라두스(Enceladus), 테티스(Tethys), 디오네(Dione), 레아(Rhea) 등을 탐사하며 그들의 표면과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습니다.
3. 천왕성 탐사
1986년 천왕성을 근접 통과하며 천왕성의 대기와 자기장, 고리를 탐사했습니다.
천왕성의 주요 위성들인 미란다(Miranda), 아리엘(Ariel), 엄브리엘(Umbriel), 티타니아(Titania), 오베론(Oberon)를 탐사하여 표면 지형과 특성을 연구했습니다.
천왕성의 희미한 고리와 새로운 위성을 발견했습니다.
4. 해왕성 탐사
1989년 해왕성을 근접 통과하며 해왕성의 대기, 자기장, 고리를 탐사했습니다.
해왕성의 주요 위성인 트리톤(Triton)을 탐사하며 질소 간헐천을 포함한 활발한 지질 활동을 확인했습니다.
해왕성의 희미한 고리를 탐사하고, 새로운 위성을 발견했습니다.
5. 성간 공간 탐사
2018년 보이저 2호는 헬리오스피어(태양권)를 벗어나 성간 공간에 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태양계 외곽과 성간 공간의 환경을 연구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사진들
보이저 2호가 촬영한 중요한 사진들은 여러 행성 및 그 위성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다음은 보이저 2호가 촬영한 몇 가지 중요한 사진들입니다:
1. 목성의 대적점(Great Red Spot)
보이저 2호는 목성의 대기 중 거대한 폭풍인 대적점의 상세한 사진을 촬영했습니다.
2. 이오(Io)의 화산 활동:
보이저 2호는 목성의 위성 이오에서 활발한 화산 활동을 관찰하고 촬영했습니다.
3. 토성의 고리
토성의 복잡한 고리 구조를 상세하게 촬영했습니다.
4. 천왕성
천왕성의 독특한 청록색 대기와 고리를 촬영했습니다.
5. 미란다(Miranda)
천왕성의 위성 미란다의 험준한 지형과 절벽을 촬영했습니다.
6. 해왕성
해왕성의 대기와 유명한 청색 점, 다크 스팟(Dark Spot)을 촬영했습니다.
7. 트리톤(Triton)
해왕성의 위성 트리톤의 표면을 촬영하여 질소 간헐천과 활발한 지질 활동을 확인했습니다.
이 사진들은 보이저 2호의 위대한 업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들입니다.
천문 망원경인 제임스웹으로도 더 자세한 사진을 찍기 이전까지 정말 중요한 자료를 남겼으며 천체와 특성에 대한 자료들은 우리의 이해를 높이는데 공헌하였습니다.
'과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판 스타링크.. 늘어나는 우주쓰레기 (1) | 2024.08.10 |
---|---|
사우디에 대량 발견된 고대 환상열석은 무엇일까요? (0) | 2024.08.05 |
하늘에서 번쩍 번쩍 거리는 강력한 반딧불, FRB (0) | 2024.07.26 |
먹고 마시고 즐겨라.. 생명공학이 하는 일. (0) | 2024.07.25 |
난 누구? 여긴 어디? (0) | 2024.07.22 |